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1-1)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상품

    중소기업 재직자는 월 최대 50만 원을 적립하고, 중소기업은 재직자 납부금의 20%를 지원해

    만기 시 재직자에게 전액 지급하는 상품입니다. 

     

    5년간 매월 50만원씩 (50*12*5 = 3000) 총 3000만원 납입 시 4027만 원을 수령합니다. 

     

    회사에서 20%를 부담해주고 최대 5%까지 금리가 적용되는 상품입니다.

    월 최대 50만원을 5년간 납부하면 4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 

    1-2) 월 납입금액

    상품 가입자는 재정 능력에 따라 10만 원에서 50만 원까지 납입해야 합니다.

    기업은 월 2만 원에서 10만 원까지 재직자 납부금의 20% 납입입니다. 

     

    1-3)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만기 수령액

    월 10만원 납입 시 805만 원

    월 30만 원 납입 시 2416만 원

    월 50만 원 납입시 4027만원을 수령합니다. 

     

    월 50만 원씩 저축하면 매년 200만 원/ 매달 16만 원을 정부와 기업에서 지원해 주는 상품입니다.

     

    이는 연 13% 이상 적금을 가입한 것과 같은 효과로 

    한도금액인 50만 원까지 최대한 넣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 


     2-1) 자격조건 

    이 정책은 주로 재정 안정성을 높이고자 하는 근로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상품입니다.

   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근로자만 가입 가능합니다. 중견기업, 대기업 근로자는 가입할 수 없습니다. 

    청년내일채움공제는 만 34세 청년만 가입이 가능한 반면, 근속 연수, 나이는 무관하게 신청가능합니다. 

     

    2-2) 신청기간 및 절차 

    ~ 2024/12/31까지 

     

    - 기업 지원금이 필요해 가입 전 노사 간 사전 협의가 필요합니다. 

    근로자와 기업주가 사전에 월 납입금액을 협의해야 합니다. 

     

    이후 사업주가 중소벤처 기업진흥공단에 협약을 체결합니다. 

    중앙벤처기업부가 신청을 승인하고 기업이 1회 차 납부를 진행하면 근로자가  상품 가입이 가능합니다. 

     

    정부는 중소기업 참여를 이끌기 위해 '법인세와 소득세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'을 제공합니다. 

     

    고객센터  1588-6259

     

    3)  퇴직 및 이직으로 인한 중도해지

     

    사실상 3년 이상 한 기업에 재직하실 분만 가입하시는 것이 유리합니다. 

     

    3년 미만 퇴직 및 이직 : 기업 납입금과 은행이자 반환. 납입금액만 돌려받습니다. 

     

    3년 이상 퇴사 및 이직 : 본인 납입금 + 이자 수령 가능 

    기업지원금은 4년 근속 시 4/5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.  

     

    만약 새로운 회사에 취직했는데 중소기업이라면 가입 가능합니다. 그러나 처음부터 새로운 계약으로 가입됩니다. 

     

    4) 그 외 혜택 

    만기시 기업지원금에 대해 소득세 50%를 감면 받을 수 있습니다. 
    청년은 90% 감면 가능합니다. 
     
    기업은행 가입시 가계 대출 금리 및 수수료 감면, 예금담보대출 금리 감면, 복지증진 프로그램이 제공됩니다.
    하나은행 가입시 금융수수료 우대서비스, 주요 통화 환율 우대, 가입자 대상 단체보험 제공됩니다. 
     

    5) 유의사항

    - 기업이 먼저 신청해야 가입이 가능합니다. 

    - 3년 미만 재직 시 기업지원금, 이자를 받을 수 없습니다. 

    - 만기 5년을 채워야 목돈 마련이 가능합니다.

    - 이직하더라도 상품 가입기간을 사실상 유지할 수 없습니다. 

     

    "재직자 우대 저축공제"는 근로자 공유의 절약을 크게 향상할 수 있는 몇 가지 재정적 혜택을 제공합니다. 정부 보조금을 절약할 때마다 총 20개의 보조금을 정부가 제공합니다. 예를 들어,  매달 50만 원을 저금할 수 있다면 정부기여금이 높은 편입니다.  또한 세금 공제 혜택도 누릴 수 있으며, 이는 소득 공제에 대한 상당한 비용 절감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